티스토리 뷰

반응형

 

오늘은 4월3일 제주 4.3 사건을 기억하고

함께 추모하는 날 입니다.

 

제주 4.3 사건은 대한민국의 법정 기념일이에요.

제주 4.3 사건 희생자를 위령하는 추념행사를 하는 기념일 입니다.

 

추념의 뜻이 조금 생소할 수 있죠!

 **'추념'이란? 지나간 일을 돌이켜 생각하다 라는 뜻, 죽은 사람을 생각하다 라는 뜻이 있습니다. 

 

제주 4.3 사건이란?

제주 4.3 사건은 1947년 3월 1일 경찰의 발포 사건을 기점으로 시작되어, 경찰과 서북청년단의 탄압에 대한 저항과 단속, 단정 반대를 기치로 1948년 4월 3일 남로당 제주도당 무장대가 무장반란을 일으킨 이래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금란지역이 전면 개방될 때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장대와 토벌대 간의 무력충돌과 토벌대의 진압 과정에서 많은 주민들이 희생된 사건입니다.

 

제주 4.3 사건의 발단

1947년 3월 1일 제주도에서 열린 3·1절 기념 대회에서 경찰이 발포하여 민간인 6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이 사건이 제주 4.3 사건의 발단이 되었고, 이후 남로당이 주도한 총파업, 경찰·서북청년단의 검속·탄압, 남로당의 무장반란, 계엄령 선포 및 중앙간 지역 초토화, 6·25전쟁으로 인한 예비검속 및 즉결처분 등이 이어졌습니다.

 

제주 4.3 사건의 내용

· 4월 3일 무장봉기

1948년 4월 3일, 남로당 제주도당 무장대가 경찰서, 통신소, 전력시설 등을 공격하는 무장봉기를 일으켰습니다. 이는 제주 4.3 사건의 주요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 정부의 대응

정부는 제주도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군과 경찰을 동원하여 진압 작전을 펼쳤습니다. 이 과정에서 많은 민간인이 희생되었으며, 제주도 전역이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제주 4.3 사건 피해규모

제주 4.3 사건으로 인해 2만 5천명에서 3만명의 인명 피해가 발생했으며, 가옥 4만여 채가 소실되었고, 중산간 지역의 상당수 마을이 폐허로 변했습니다. 1954년 4·3이 종료되면서 파괴된 마을의 복구와 정착 사업이 본격화되었지만, 4·3이 제주공동체에 남긴 후유증은 쉽게 치유되지 않았습니다.

 

 

제주 4.3 사건 진상규명

1960년 4·19 혁명 이후, 제주대학생들과 유가족들이 진상규명을 위한 첫 시도를 시작했습니다. 

이들은 진상조사 작업에 나섰고, 공개적인 논의의 장을 마련했습니다. 
1960년 5월, 국회에서는 제주 4.3 사건의 진상도 조사해야 한다는 제안이 발의되었고, 이에 따라 진상 조사가 실시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희생자 유족들은 학살 당시의 불법성을 폭로하고 억울함을 호소했습니다. 

 

· 특별법 제정

2000년, 제주 4.3 사건의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법이 제정되었습니다. 이 법은 사건의 진상 규명과 희생자 명예회복을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 진상규명 결과

2019년 12월, 제주 4.3 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는 제주 4.3 사건 민간인 희생자 수를 14,442명으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사건에 대한 구체적인 진상 규명의 일환으로, 희생자들의 명예를 회복하는 중요한 단계였습니다.

 

 

 

 

제주 4.3 사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제주 4.3 사건의 역사 내용과 추가 진상조사, 관련 법령 등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다면 제주 4.3 평화재단 사이트를 방문해보세요!!

 

제주4·3평화재단

4·3평화기념관 4·3의 원인, 전개, 결과, 진상규명 과정을 전시한 공간입니다.

jeju43peace.or.kr

 

 

 

반응형
반응형